봉화 청량산
2011년7월9일
장마철이라 전날부터 쏟아진 비로인해
과연 우중 산행을 할수 있을까? 하고 걱정속에 출발.
일기예보를 들어봐도 오늘은 호우주의보 내지 호우경보 일색이다.
창원에서 버스가 출발할때부터 봉화의 산행 들머리인 입석에 도착하기까지 한번도 쉬지않고 차창에 비가 내리고 있었지만
동행한 산악회 회원들은 아주 익숙하다는 듯 전혀 개의치 않는것 같다. 아니 물어보니 작년에 많이 경험했단다.
오늘의 코스는 입석 --> 응진전 --> 총명수 --> 어풍대 --> 김생굴 --> 자소봉 --> 탁필봉 --> 연적봉 -->
자란봉 --> 하늘다리 --> 장인봉 --> 하늘다리 --> 자란봉 --> 청량사 --> 선학정으로 정했다.
참고로 원래의 계획은 청량폭포로 내려올 예정이었으나 폭우로 인해 일부가 유실내지 위험하다는 현지 안내에 따라
청량사로 내려오기로 급변경했다.
어떻든 다들 안전이 제일이라고 생각하는지 하산 계획의 변경에 대해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소수는 우산을 들었지만 대다수는 준비한 우의를 입고 버스를 내린 우리는 요란스런 빗속에서 시작을 알리는 전체 사진을 찍고
빗소리에 장단을 맞춘 듯 말없이 산행을 시작한다.
나도 오늘은 여느 등산과 달리 비와 안개로 인해 주변풍경을 담기보다는 내 자신과 대화도 해보면서 쏟아지는 비에 일상으로부터 찌들어
버린 마음의 때가 한까풀 씻기어 지기를 바라기라도 하는 듯 혼자만의 생각에 잠겨 조심 조심 올라갔다.
Poncho의 Hood로 인해 시야가 좁아져 거북하기도 하고, 먼곳 조망은 쉽지않고, 그렇다고 뒤로 후드를 젖히자니 비가 얼굴을 때리고,
후드위를 때리는 빗소리는 어느때 보다 크게 들리고...
어느 듯 탐방로 옆으로 응진전도 지나가고, 총명수도 지나가고, 김생굴도 지나갔지만 폭우로 인해 한컷도 찍을 여유가 없다.
8부능선을 지나 갑작스런 급경사 계단을 올라가니 자소봉(840m) 정상이다.
그런데 비는 다소 누그러졌지만 안개로 가린 시계로 인해 사진이나 제대로 나올려는지?
자소봉을 내려와 탁필봉을 거쳐 연적봉(846m)에 올랐다. 잠시 비가 소강상태를 유지하는가 했더니 이내 탁필봉과 연적봉쪽에서 두터운
비안개가 다가올 것만 같다.
잠시 비도 그친 상태에서 서둘러 연적봉을 뒤로하고 가던길을 계속하니 청량산의 백미라 할수 있는 현수교 형태의 하늘다리
(지상고 70m, 길이 90m, 너비 1.2m, 해발 800m 고지)가 주변의 풍광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태를 유감없이 뽐낸다.
간만에 여유롭게 풍경을 감상하고 청량산 최고봉인 장인봉을 향했다. 그런데 최고봉을 향한다면 계속 올라가야 될텐데 기대와는 달리
내려가는 계단이 계속되어 한동안 길을 잘못 들어선건 아닌지 되돌아 보기도 했으나 이내 올라가는 계단이 나온다.
이번엔 깔딱 계단이라도 되는듯 경사가 심하더니 이내 평범한 고지가 보인다.
청량산 장인봉(870m)에서 인증샷을 누르고 나니 다시 억수같은 비가 쏟아진다.
이미 동행했던 회원들은 하늘다리까지 등산한뒤 바로 하산했는지? 우리만 뒤처져 있음을 깨닫고 빠른 걸음으로 하산을 재촉했다.
청량사가 보일때쯤까지 내려오니 청룡사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회원들이 보인다.
혹시나 우리로 인해 많이 기다리지 않았는지 염려했지만 반갑게 맞이해주며 사진을 함께 찍어주었다.
청룡사에서 버스가 대기하고있는 선학정까지 800m의 도로는 급경사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빗길에 미끄러지지 않을런지 조심되었으나
전원 무사하게 내려왔단다.
버스에 오르니 너나 할것없이 비와 땀에 젖은 옷을 갈아 입기위해 준비해온 옷짐을 싸서 인근 화장실로 향하는 모습을 보며
나도 예외없이 오늘 하루의 수고를 깨끗이 씻어내고자 동참했다.
우중산행, 판쵸우 그리고 청량산!!! 내겐 오늘이 이러한 단어로 연상되는 특별한 산행의 추억으로 기억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