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이 좋아

지리산 1일 종주

K.S.Lee 2010. 5. 23. 22:01

대피소 예약에 실패하여 1일 완주를 목표로 정하고 인터넷을 통해 여러정보를 수집한 결과,

성삼재를 출발하여 백무동으로 하산하는 1일 코스를 완주 목표하고 2010년5월21일 나와 집사람이 함께 완주에 도전

 

1. 백무동으로 출발 : 새벽 1시45분에 창원을 출발 3시50분에 함양 백무동 도착 후 마천 전통시장에 승용차 주차

 

2. 성삼재로 이동 : 예약된 택시를 이용하여 4시 백무동에서 성삼재로 4시30분에 도착

 

3. 성삼재에서 노고단 대피소로(2km)

    -. 휴일인 관계로 전국적으로 수 많은 등산객들로 붐빔

    -. 4시40분 아주 캄캄했지만 헤드랜턴 없이 많은 등산객들의 틈에 끼여 노고단 대피소로 출발

        노고단 대피소까지는 차도로 이으져 있어 어두웠지만 전혀 위험하지 않았고 도로의 상태도

        매우 양호하였으며 출발후 약 30분 경과(5시10분경)하니 이미 사물식별이 가능할 정도로 주변의

        어두움 벗겨졌으며 5시20분에 노고단 대피소에 도착   

    -. 준비해간 아침을 먹는 가운데 예상외로 기온이 낮아 한기가 느껴져 자켙을 꺼내 입음

 ▼ 해돋이 전의 시간인데도 많은 인파로 붐비는 노고단 대피소 전경(산행의 출발 시점이어서 모두 밝고 경쾌한 모습)

 

4. 노고단 대피소에서 임걸령 샘터로(3.7km)

    -. 6시 정각에 노고단 대피소를 출발하여 약 5분만에 주 능선의 시작을 알려주는 노고단 고개 도착

    -. 줄에 줄을 이어가듯 5m 폭의 양질의 등산로를 등산객으로 덮음

    -. 노고단 대피소를 출발한지 약 1시간만에 임걸령 샘터에 도착

  ▼ 노고단 고개에서(사진은 입산금지된 능선의 등산로)

 

5. 임걸령 샘터에서 화개재로(3.1km)

    -. 음용수가 풍부한 임걸령 샘터에서 식수를 충분하게 확보한 후 7시10분 다음 목적지로 출발

    -. 노루목과 삼도봉을 거쳐 8시20분에 뱀사골 갈림길이 있는 화개재에 도착

    -. 철쭉으로 화개재를 아름답게 덮고있는 화개재를 감상

  ▼ 화개재의 철쭉  

 

6. 화개재에서 연화천 대피소로(4.2km)

    -. 8시30분에 화개재를 출발하여 오르막이 많은 편인 토끼봉을 오르느라 숨이 조금 가빠짐을 느낌

    -. 등산로는 여전히 등산객들로 붐비는 편임

    -. 명선봉을 거쳐 조금 지루하다 싶을 즈음인 9시48분에 연하천 대피소에 도착

  ▼ 연화천 대피소에서 

 

7. 연화천 대피소에서 벽소령 대피소로(3.6km)

    -. 10시에 연화천을 출발하여 음정갈림길, 삼각봉, 형제봉 및 형제바위를 거쳐 벽소령 대피소로 출발

    -. 그동안 타 등산객보다 빠른 걸음을 했던 관계로 등산로는 많이 한산해 졌으며 11시25분에 벽소령 대피소에 안착

  ▼ 벽소령 대피소(등산객 숫자가 많이 줄어든 상황을 보여줌)

 

 

8. 벽소령 대피소에서 세석 대피소로(6.3km)

    -. 11시30분에 벽소령을 출발하여 선비샘을 출발

    -. 등산로 바로 옆에 있는 선비샘에서 신선한 음용수를 채운후 칠선봉과 영신봉을 거쳐 세석 대피소에 14시10분 도착

    -. 거리가 상당하여 피곤하다는 느낌과 더불어 무릎 관절에 조금씩 이상한 느낌이 와서 조심 스러워짐

    -. 중식과 더불어 충분한 휴식의 필요성으로 약40분간 휴식을 취함

  ▼ 세석 대피소에서

 

 

9. 세석 대피소에서 장터목 대피소로(3.4km)

    -. 피곤하여 바로 백무동으로 하산하고픈 마음도 들었지만 처음에 가졌던 마음으로 추스려 장터목을 향하여 15시경 출발

    -. 촛대봉을 거쳐 연하봉을 가는 과정은 종주의 후반에다 조금 가파른 오르막으로 인해 매우 지치게 하였으며 마침내

        장터목 대피소에 16시20분 도착

    -. 약20분간 마지막 휴식을 취함

  ▼ 세석 대피소에서 장터목 대피소로 가는 도중에 잡은 겹겹의 아름다운 산들 

 

10. 장터목 대피소에서 백무동으로 하산(5.8km)

    -. 마침내 마지막 코스인 백무동 매표소를 향해 16시40분경 하산

    -. 장터목에서 백무동까지의 등산로는 거의 자연석으로 깔려있어 전혀 하산의 충격이 지면에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무릎관절에 미치는 것 같아 지친데 엎친격으로 무릎 통증이 최상으로 느껴짐

    -. 우여곡절끝에 백무동 매표소를 18시30분에 도착하여 지리하고 장대했던 무박1일의 지리산 종주를 무사히 마감

 

11. 귀가

    -. 백무동에서 함양여객 버스를 타고 마천 전통시장으로 와서 새벽에 주차해 두었던 차를 타고 창원으로 22시경 귀가

 

12. 마무리

    -. 일생에 한번은 해봐야 되겠다고 생각하고 더 나이들기 전에 도전해 보고자 했던 것 중의 하나,

       또 하나의 열매를 무사히 거두게 된 것 감사, 감사, 감사!

    -. 연약한 여자로서 오십을 바라보는 적지않은 나이에 나보다 더 생생하게 32.1km의 지리산 종주를 하루만에  할수 있었던

       힘의 원천은 어디에 있을까? 강인한 집사람이 자랑스럽다!!!